(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삼일신고(三一神誥)(2016.09.15.~2018.12.22)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삼일신고(三一神誥) (미륵불 역, 2015)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삼일신고(三一神誥)" 강의 동영상과 녹취록

 서 문 (序文)

목차

제1부 삼일신고 해설을 위한 이해의 장

1.1. 한단불교(桓檀佛敎)에 대하여

1.1.1.『삼성기 전하편(三聖記全下篇) 부분 해설』

※ [구한(九桓)]

※ [지도] 1국(國) 3체제 구한(九桓)

1.1.2.『《한(桓)》의 문자에 담긴 천부진리(天符眞理)』

1.1.3.『《한(韓)》의 문자에 담긴 천부진리(天符眞理)』

1.1.4.《한단불교(桓檀佛敎)》파괴의 실상(實相)

1.1.4.1.〔단군조선(檀君朝鮮)의 역사(歷史) 왜곡의 실상(實相) 정리〕

1.2. 한단불교(桓檀佛敎)와 브라만교(敎)(바라문교, Brahmanism)

1.3. 천부수리(天符數理)와 천부진리(天符眞理)

1.3.1. 천부수리(天符數理)

1.3.2. 천부진리(天符眞理)

1.3.2.1. 자구(字句) 획수 수리(數理) 풀이에 의한 근본진리(根本眞理)

※ 주(註)

제2부 삼일신고 한문경, 한글경, 근본진리

2.1. 삼일신고(三一神誥) 한문경(韓文經)

2.2. 삼일신고(三一神誥) 한글경

2.3. 삼일신고(三一神誥) 근본진리(根本眞理)

제3부 삼일신고 제목 및 한글경 해설

3.1. 『삼일신고(三一神誥)』해설(解說)

3.1.1. 제목 해설(題目解說)

3.1.1.1.《삼일신고(三一神誥)》

3.1.1.2. 총삼백육십육자(總三百六十六字)

※ 여섯 뿌리의 진공(眞空)

3.1.1.3. 제목(題目) 해설의 종합

3.1.2. 제일장(第一章) 허공삼십육자(虛空三十六字)

3.1.2.1. 제목 해설

3.1.2.1.1. 허공(虛空) 36자(字)

3.1.2.2. 한글경 해설

3.1.3. 제이장 일신오십일자(一神五十一字)

3.1.3.1. 제목(題目) 해설

3.1.3.2. 한글경 해설

3.1.3.2.1. “하나님은~헤아릴 수가 없다.”

3.1.3.2.1.1. [상천궁(上天宮)]

※ [도형] 상천궁(上天宮) 10성(星)

3.1.3.2.1.2. [태양수(太陽數) 9]

3.1.3.2.1.3. [오행(五行)의 작용(作用)]

3.1.3.2.2. “소리내어~내려와 머릿속에 내려와 계시느니라.”

3.1.3.2.2.1. [삼진(三眞)]

3.1.3.2.2.2. [성(性)]

3.1.3.2.2.3. [삼진(三眞)과 성(性)의 30궁(宮)과의 관계]

※『문다까 우파니샤드』제3장 제1편 [1]~[2]

3.1.3.2.2.4. [삼진(三眞)과 성(性)의 30궁(宮)의 작용(作用)과 마음(心)]

※ [도형] 마음(心) A

※ [도형] 마음(心) B

3.1.3.2.2.5. 본문(本文) 해설(解說)

※ 강주(講主)

3.1.4. 제삼장 천궁사십자(天宮四十字)

3.1.4.1. 제목 해설(題目解說)

3.1.4.2. 한글경(經) 해설

3.1.5. 제사장 세계칠십이자(世界七十二字)

3.1.5.1. 제목 해설(題目解說)

3.1.5.2. 한글경(經) 해설

3.1.6. 제오장 인물일백육십칠자(人物一百六十七字)

3.1.6.1. 제목 해설(題目解說)

※ 용어(用語) 해설(解說) : 1. 십거일적(十鋸一積), 2. 72궁(宮)

3.1.6.2. 한글경(經) 해설

※ [도형] 마음(心) B

※ [성(性), 명(命), 정(精)의 진화(進化) 관계]

※ 사바세계(娑婆世界)란 무엇입니까?

※ [마음(心)을 겨냥한 양(陽)의 18경계]

※ [마음(心)을 겨냥한 음(陰)의 18경계]

※ 강주(講主) 154

※ 강주(講主) : 인물(人物) 167자에 등장한 중요한 용어와 음양 관계 정리

제4부 삼일신고(三一神誥) 천부수리(天符數理)에 의한 근본진리(根本眞理) 정리

4.1. 제일장(第一章) 허공삼십육자(虛空三十六字)

4.1.1. 제일장(第一章) 자구(字句) 획수 수리(數理) 풀이 및 근본진리

※ 강주(講主)

4.2. 제이장(第二章) 일신오십일자(一神五十一字)

4.2.1. 제이장(第二章) 자구(字句) 획수 수리(數理) 풀이 및 근본진리

4.3. 제삼장(第三章) 천궁사십자(天宮四十字)

4.3.1. 제삼장(第三章) 자구(字句) 획수 수리(數理) 풀이 및 근본진리

4.4. 제사장(第四章) 세계칠십이자(世界七十二字)

4.4.1. 제일장(第一章) 자구(字句) 획수 수리(數理) 풀이 및 근본진리

4.5. 제오장(第五章) 인물일백육십칠자(人物一百六十七字)

4.5.1. 제오장(第五章) 자구(字句) 획수 수리(數理) 풀이 및 근본진리

제5부 우파니샤드

5.1.『우파니샤드』해설(解說)

5.1.1.『마이뜨리 우파니샤드(Maitrayaniya Upanishad)』「제6장 24절」

5.1.2.『마이뜨리 우파니샤드(Maitrayaniya Upanishad)』「제6장 17편」

5.1.3.『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1장 제2편 6항」

5.1.4.『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1장 제2편 7항」

※ 강주(講主) 304

5.1.5.『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1장 제2편 1항」

5.1.6.『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1장 제2편 2항」

5.1.7.『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1장 제2편 3항」

※ [도형] 개천이전(開天以前) 36궁(宮) 도형

5.1.8.『까타 우파니샤드(Katha Upanishad)』「제3부 제1장 1」

5.1.9.『까이 알리야 우파니샤드』「제1장 8」

5.1.10.『마이뜨리 우파니샤드』「제6장 4」

5.1.11.『문다까 우파니샤드』「제2장 제2편 9항」

5.1.12.『슈베따 슈바따라 우파니샤드』「제3장 제1편」

5.1.13.『까타 우파니샤드』「제2장 제1장 6, 7」

5.1.14.『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5장 제15편 1」

5.1.15.『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2장 제2편 3」

5.1.16.『찬도기야 우파니샤드』「제3장 제15편 1」

5.1.17.『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3장 제8편 1」

5.1.18.『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Brihadaranyaka Upanishad)』「제1장 제4편 1」

5.1.19.『까타 우파니샤드』「제1부 제3장 10편, 11편, 12편」

5.1.20.『까타 우파니샤드』「제2부 제1장 1, 2」

5.1.21.『까타 우파니샤드』「제1부 제2장 5, 6」

5.2.『우파니샤드』용어(用語) 해설(解說)

5.1.1. 삼진(三眞)

5.1.1.1. 진성(眞性)

5.1.1.2. 진명(眞命)

※ [도형] 여섯 뿌리의 진공(眞空) 구슬

5.1.1.3. 진정(眞精)

5.1.1.4. 성(性)과 명(命)

※ [도형] 마음(心) A

5.1.1.5. 호흡과 성(性)의 30궁(宮)

※ [도형] 마음(心) A

※ [도형] 마음(心) B

5.1.1.6. 정명(精命)

5.1.1.7. 마음(心)

5.1.1.8. 삼도(三途)

5.1.1.9. 인간(人間)

※ 강주(講主)

제6부 삼일신고(三一神誥) 용어 해설

[그림] 다보불 진신(眞身) 4성(星)
[그림] 상천궁(上天宮) 10성(星)
[그림] 중앙천궁상궁(中央天宮上宮)
[그림] 천일우주(天一宇宙) 100의 궁(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