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진실(眞實)된 세계(世界)의 역사(歷史)와 종교(宗敎) 上
도서명 : 진실(眞實)된 세계(世界)의 역사(歷史)와 종교(宗敎) 上 (미륵불 저, 2015)
"진실(眞實)된 세계(世界)의 역사(歷史)와 종교(宗敎) 上" 강의 동영상
인사 말씀
목차
제1장 불교(佛敎)란 과연 어떠한 종교(宗敎)인가
1.1. [진화(進化)와 창조(創造)]
1.1.1. 진화(進化)의 근본목적(根本目的)
1.1.2. 창조(創造)
1.1.2.1. 정명궁(正明宮)
1.1.2.2. 진명궁(眞明宮)
1.2. 불교(佛敎)
1.2.1. 지상(地上)에서의 불교 구분
1.2.1.1.《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주도의 북반구 및 남반구 문명
1.2.1.2 《아미타불(佛)》과《노사나불(佛)》주도의 남반구 문명
1.2.1.2.1 [인간 육신(肉身) 진화와 U.F.O]
1.2.1.2.2 관념(觀念)
1.3.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께서 주도하시는 지상(地上)의 마지막 문명기
1.3.1 [한국(桓國)](7200BC~6000BC)
1.3.1.1 《구석기인》의《신석기인》으로의 교화(敎化)
1.3.1.2 《1차 민족대이동》
1.3.2 [배달국(倍達國, 딜문(Dilmun)](6000BC~4000BC)
1.3.2.1 《일곱 한님(桓因)》(불보살)
1.3.2.2 〔다섯 한님(桓因)《불보살(佛菩薩)》〕과《스키타이》가 교화(敎化)한 후손(後孫) 정리
1.3.2.3 [2차 민족대이동]
1.3.2.4 《배달국(倍達國, 딜문)》과《돈황》
1.3.3 《아시리아(Assyria)》왕조(王朝)와 [수메르 문명]
1.3.4 [한국(韓國)](3898BC~2333BC)
1.3.4.1 《한국(韓國)》을 종주국(宗主國)으로 한《구막한제국(寇莫韓帝國)》역대표
1.3.4.2 [한국(韓國)과 한단고기(桓檀古記) 기록]
1.3.4.3 [한국(韓國)과 청동기 시대]
※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의 명령
1.3.4.4 [한국(韓國)과 연방국]
1.3.4.4.1 《한국(韓國)》
1.3.4.4.2 《구막한제국(寇莫韓帝國)》
1.3.4.4.3 《객현한국(客賢桓國)》
※ 강주(講主) 1-3-1 :
1.3.4.4.3.1 “파나류산(波奈留山) 밑에~한국(韓國)이요”
※ 강주(講主) 1-3-2 :
※ 특기(特記) 1 :
1.3.4.4.3.2 “갈라서 말하면 비리국,~합해서 12국(國)이다.”
※ 강주(講主) 1-3-3 : 인류의 역사
1.3.4.4.3.3 “천해는 지금 북해라 한다.~알 수가 없다.”
1.3.4.5《한국(韓國)과 한웅(桓熊)》
1.3.4.5.1 한국(韓國)과 한문(韓文)
1.3.4.6 한단신(불)교(桓檀神(佛)敎)
※ 강주(講主) 1-3-4 :
※ 강주(講主) 1-3-5 :
※ 황제내경(皇帝內經)
1.3.4.7 신선도(神仙道)
1.3.4.7.1 《신선도(神仙道)》의 구분
1.3.4.7.2《신선도(神仙道)》에 숨어 있는 비밀(秘密)
1.3.4.7.3 《황제중경(皇帝中經)》과《연등불(佛)》
1.3.4.7.4 《자부선생(紫府先生)》과《역사(歷史) 왜곡》
1.3.5 [단군조선(檀君朝鮮)](2333BC~232BC)
1.3.5.1 《단군조선(檀君朝鮮)》과《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의 유지(遺志)
1.3.5.2 《단군왕검(檀君王儉)》
1.3.5.3 《문수보살》과《이집트》
1.3.5.3.1 《아미타불(阿彌陀佛)과 세트 신(Set, Seth 神)》
1.3.5.3.2 《세트 신과 비로자나 1세, 비로자나 3세의 계략》
1.3.5.3.3 《세트 신(Set, Seth 神)의 체포》
1.3.5.3.4 《약상보살과 약왕보살》
1.3.5.3.5 《아미타불(佛)의 부활(復活)》
1.3.5.4 《공산사상(共産思想)》과《자연사상(自然思想)》
1.3.5.4.1 《공산사상(共産思想)》
1.3.5.4.2 [《공산사상(共産思想)》과《자연사상(自然思想)》의 본질]
1.3.5.4.3 《자유사상(自由思想)》
1.3.5.4.4 《묘음보살(妙音菩薩)과 모세(Moses, 1211BC~1136BC)》
1.3.5.4.5 《유다 왕국의 몰락》
1.3.5.4.6 《중국(中國) 공산당》
1.3.5.4.7 《자연사상(自然思想)》
1.3.5.5 《노사나불(佛)》과《불법(佛法)》
1.3.5.5.1 《남방불교 전래(南方佛敎傳來)》
[도형 1-3-4] 보살불교와 마왕불교의 진화 차이
1.3.5.5.2 《금관가야(金官伽倻)》와《수로왕(首爐王, 25BC~AD110, 재위 6BC~AD110)》
※ 강주(講主) 1-3-6 : 174
1.《중원 대륙》에서의《노사나불(佛) 1세》패배의 원인(原因)
2.《중원 대륙》백성(百姓)들의 사상적(思想的) 배경
3.《중원 대륙》백성(百姓)들의 종교적(宗敎的) 구분
1.3.5.6 〔단군조선(檀君朝鮮)의 역사(歷史) 왜곡의 실상(實相) 정리〕
1.3.6 [북부여(北夫餘)]
1.3.6.1 [공화제(共和制) 철폐]
1.3.6.2 [공양태모법(公養太母法)과 태교(胎敎)]
1.3.7 후고조선(後古朝鮮) 삼한(三韓)과《고구려》,《신라》,《가야》,《백제》등 4국(四國) 체제
※ 특기(特記) 2 :
1.3.7.1 [한반도내(韓半島內)의 민족 대이동]
※ 특기(特記) 3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의《작용신(作用身)》
1.3.7.1.1 [한반도내(韓半島內)의 1차 민족(民族) 대이동]
1.3.7.1.2 [한반도내(韓半島內)의 2차 민족 대이동]
※ 강주(講主) 1-3-7 : [노사나불(佛)과 수로(首爐, 25BC~AD110, 재위 6BC~AD110)〕
1.3.8 [일본(日本)]
1.3.8.1 [구석기인들의 일본 열도(日本列島) 정착]
1.3.8.2 [일본열도(日本列島)《구석기인》들의 교화(敎化)]
1.3.8.2.1 [다보불(佛) 직계와《마왕신(神)》후손들의 교화(敎化)]
1.3.8.2.2 [노사나불(佛) 직계(直系)《스키타이》후손들의 교화(敎化)]
1.3.8.2.2.1 [노사나불(佛)과 여타《천왕(天王)》들과의 관계]
1.3.8.2.2.2 [신무천왕(神武天王)]
1.3.8.2.2.3 [신공왕후(神功王后)]
1.3.8.2.3 [야마타이 교화기(敎化期) 왕명록](AD183~AD539)
1.3.8.2.4 [《일본 본토(本土)》문명기(文明期)](AD201~AD539)
1.3.8.2.4.1 [일본 본토(日本本土)《스키타이》탄생 이후의 문명기(文明期)]
1.3.8.2.4.2 [대마왕 불보살들과《악마의 신》들인 대마왕신(神)들의 엄청난 계략]
1.3.8.2.4.3 [《대마왕》불보살들과《악마의 신》들인《대마왕신(神)》들의 계략과《한반도》]
1.3.8.2.4.4 [일본(日本) 본토(本土) 문명기(文明期)]
1.3.8.2.5 [통합(統合) 아스카 시대](AD539~AD715)
1.3.8.2.6 [나라 시대](AD715~AD781)
1.3.8.2.7 [헤이안 시대](AD781~AD1180)
1.3.8.2.8 [가마쿠라 막부(幕府) 시대](AD1180~AD1339)
1.3.8.2.8.1 [막부(幕府)]
1.3.8.2.9 [북조 막부(幕府)](AD1331~AD1412)
1.3.8.2.10 [무로마치 막부(幕府) 시대](AD1339~AD1611)
1.3.8.2.10.1 [노사나불(佛)과 막부체제(幕府體制)]
1.3.8.2.10.2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임진왜란]
1.3.8.2.11 [에도 막부(幕府) 시대](AD1611~AD1866)
1.3.8.2.11.1 [에도 막부(幕府)와 공산주의(共産主義)]
1.3.8.2.11.2 [《악마의 신》들인《대마왕신(神)》들과《대마왕》들의 움직임]
1.3.8.2.11.3 [중국공산당(中國共産黨)과 북한공산당(北韓共産黨)]
1.3.8.2.11.4 [남한(南韓)]
※ 특기(特記) 4 :
1.3.8.2.12 [메이지 시대](AD1867~현재)
1.3.8.2.12.1 [일본(日本)의 근대화(近代化)]
1.3.8.2.12.2 [메이지 유신과《일본(日本)》의 교육(敎育) 정책]
1.3.8.2.12.3 [한국(韓國)과《일본국(日本國)》에 관계된 국제적《음모(陰謀)》]
※ 특기(特記) 5 :
※ 특기(特記) 6 :
1.3.9 [동남(東南) 아시아]
1.3.9.1 《진화(進化)》의《근원지(根源地)》
1.3.9.2 [민족(民族) 대이동]
1.3.9.3 [동남아시아《한민족(韓民族)》들의 2차 교화(敎化)]
1.3.9.4 《버마(Burma, 미얀마 Myanmar)》
1.3.9.4.1 [버마(Burma) 서부 해안의 1차 교화(敎化)]
1.3.9.4.2 《라크히네(Rakhine)》문명기(文明期) (3500BC~3325BC)
1.3.9.4.3 [버마(Burma) 서부 해안 2차 교화기(敎化期)]
1.3.9.4.3.1 《상(上) 버마》2차 교화기(敎化期) 문명(文明)과《단야와디 1왕조》
1.3.9.4.3.2 《하(下) 버마》2차 교화기 문명(文明)과《단야와디 2왕조(Danyawaddy II)》
1.3.9.4.4 [버마(Burma) 서부 해안 왕조(王朝) 시대]
1.3.9.4.5 [버마(Burma) 동부 내륙의 1차 교화(敎化)]
1.3.9.4.6 [버마(Burma) 동부 내륙 2차 교화기(敎化期)]
1.3.9.4.6.1 [《동부 내륙》《상(上) 버마》2차 교화기 문명(文明)]
1.3.9.4.6.2 [《동부 내륙》《하(下) 버마》2차 교화기 문명(文明)]
1.3.9.4.6.3 [《버마》동부 내륙의 왕조(王朝) 정리]
1.3.9.4.6.4 [《버마》동부 내륙《왕조(王朝)》《왕명록》]
※ 특기(特記) 7 :
※ 특기(特記) 8 :
1.3.9.4.6.5 [종족(種族)]들과 왕조(王朝) 구분
1.3.9.4.6.5.1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과《버마인》과《퓨족》
1.3.9.4.6.5.2 《관세음보살》과《샨족》또는《아라칸족》
1.3.9.4.6.5.2.1 [윈난(Yunnan) 성] 또는 아라타(Aratta)
1.3.9.4.6.5.2.2 [남조(南詔) 왕국(王國)](AD737~AD902)
1.3.9.4.6.5.3 [몬족(Mon 族)]
1.3.9.4.6.5.4 [카렌(Karen) 족(族)]
1.3.9.4.6.6 [《버어마》에서의 교화(敎化)와 왕조(王朝)들의 정리]
1.3.9.4.6.7 [버어마 교화기(敎化期) 신시(神市)의 정리]
1.3.9.4.6.8 [버마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시작]
1.3.9.4.6.9 [버마《파간 제국》멸망 이후부터《콘바웅(Konbaung) 왕조》까지](AD1297~AD1885)
※ 주(註) :
1.3.9.4.6.10 [영국(英國, British)의 버마 통치기(統治期)]
1.3.9.5 [라오스(Laos)]
1.3.9.5.1 [《라오스》지역의 1차 교화(敎化)](5500BC~4500BC)
1.3.9.5.2 [라오스 지역의 2차 교화기(敎化期) 문명](1800BC~1300BC)
1.3.9.5.3 [라오스 2차 교화기(敎化期) 이후의 왕조(王朝)]
※ 주(註) 1 :
※ 주(註) 2 :
1.3.9.5.4 [라오스《란쌍(Lan Xang)》2왕조 이후의《역사(歷史)》정리]
※ 주(註) 3
※ [강주(講主) 1-3-8] [인간 육신이 단련을 받는 이치]
[1] [유전자 4만 개]
[2] [삼진(三眞)]
[3] [단련]
[4] [마음(心)]
[5] [작용(作用)의 결과]
[6] [분리독립]
[7] [결론]
(1) [이슬람교(敎)와《수니파(Sunnis)》]
1.3.9.6 [태국 하리푼차이(Hariphunchai) 문명(文明)]
1.3.9.6.1 [태국《하리푼차이(Hariphunchai) 왕조(王朝)》](1300BC~AD1)
1.3.9.6.2 [《히란(Hiran) 1》,《느게온양(Ngeon Yang)》,《란나(Lanna)》왕조]
1.3.9.6.3 AD 1년 이후《태국》북부 지역의 왕조(王朝)들
1.3.9.7 [푸난(Funan) 왕국(王國)](1300BC~300BC)
1.3.9.7.1 [태국 중부와 남부 지방《2차 교화기》문명(文明)]
1.3.9.7.1.1 [라보(Lavo) 1왕조(王朝)](1300BC~300BC)
1.3.9.7.1.2 [아유타야(Ayutthaya) 왕조와《2차 교화기》문명(文明)](800BC~300BC)
1.3.9.7.2 [캄보디아《1차 교화(敎化)》](800BC~300BC)
1.3.9.8 [태국(Thailand)]
1.3.9.8.1 《태국》북부 왕조(王朝) 정리
1.3.9.8.2 [《태국》중부와 남부 2차 교화기 문명 및 이후의 왕조(王朝) 정리]
1.3.9.8.3 [대(大) 아유타야(Ayutthaya) 왕국(王國)] (300BC~AD640)
1.3.9.8.3.1. [《BC 300 ~ AD 200》년까지의《대(大) 아유타야 왕국(王國)》]
※ 특기(特記) 9 :
1. [불교경전(佛敎經典) 결집(結集)]
2. [굴내결집(窟內結集)]
3. [굴외결집(窟外結集)]
4. [상좌부 연각과 독각 불교(上座部 緣覺과 獨覺 佛敎)]
※ 특기(特記) 10 : [대마왕(大魔王) 관세음보살]
1.《대마왕》《관세음보살》의《음모(陰謀)》
2.《악마(惡魔)의 신(神)》인《석가모니》의 성불(成佛)
※ 주(註) 1 :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와《자이나교(Jainism)》
※ 주(註) 2 : 고대(古代)《인도》의 역사(歷史)에 대한 당부
3. 《불법(佛法)》수호(守護)를 위한《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의 대책
※ 주(註) 3 : 비자야(Vijaya, 생몰 562BC~475BC)
금강경 진언
4. 《제바달다(Devadatta)》(생몰 534BC~461BC)
※ 주(註) 4 :《빔비사라(BimbiSara) 왕》의 죽음과《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5. 간추린《불법(佛法)》파괴의 실상(實相)
(1) [2차 불법(佛法) 파괴]《굴외결집(窟外結集)》
(2) [3차 불법(佛法) 파괴]《대중부 독각불교(大衆部獨覺佛敎)》
(3) [4차 불법(佛法) 파괴]《상좌부 연각과 독각 불교(上座部 緣覺과 獨覺 佛敎)》
(4) [5차 불법(佛法) 파괴]《양(陽)의 독각불교(獨覺佛敎)》
(5) [관음신앙(觀音信仰)]
1.3.9.8.3.2. [《AD 200 ~ AD 640》년까지의《대 아유타야 왕국(王國)》]
1.3.9.8.4 《라보(Lavo) 2왕조(王朝)》(AD640~AD1087),《아유타야(Ayutthaya) 왕국》(AD640~AD1087~AD1438),《수판나품(Supha nnaphum) 왕조》(AD1087~AD1438)
1.3.9.8.5 [수코타이(Sukhothai) 왕조(王朝)](AD1238~AD1438)
1.3.9.8.6 [《아유타야(Ayutthaya)》통합 왕국](AD1438~AD1767)
1.3.9.8.7 《톤부리(Thonburi) 왕국(王國)》(AD1767~AD1782),《라따나꼬신(Rattanakosin) 왕국(王國)》(AD1782~AD1932)
1.3.9.9 [캄보디아(Cambodia)]
1.3.9.9.1 《첸라(Chenla)》왕조(王朝) 2차 교화기 문명과 왕조시대(王朝時代) (300BC~AD802)
1.3.9.9.2《크메르(Khmer) 제국(帝國)》(AD802~AD1393)
1.3.9.9.2.1 [ 크메르 제국(帝國)의 멸망]
1.3.9.9.3 [캄보디아 왕국(王國) 1《암흑기(暗黑期)》](AD1393~AD1863)
1.3.9.9.3.1 《차르크토모크 시대(Charktomok Era)》왕명록
1.3.9.9.3.2 《로베크 시대(Lovek Era) 왕명록》
1.3.9.9.3.3 《스레이 산토르 시대(Srei Santhor Era) 왕명록》
1.3.9.9.3.4《오우동 시대(Oudong Era)》(AD1619~AD1863)
1.3.9.9.4 [현대 캄보디아](AD1863~현재)
※ 특기(特記) 11 :
1.4. 마왕불교(魔王佛敎)
1.4.1 [대마왕신불(大魔王神佛)《악마(惡魔)의 신(神)》《석가모니》]
1.4.1.1 [악마(惡魔)의 신(神)인 석가모니 천상(天上)의 행적(行跡)]
1.4.1.2 [《악마(惡魔)의 신(神)》인 석가모니《지상(地上)》의 행적(行跡)]
1.4.1.3 [《악마(惡魔)의 신(神)》인《석가모니》부처(佛) 이룸의 배경]
1.4.1.4 [《악마(惡魔)의 신(神)》인 석가모니의 성불(成佛)]
1.4.1.4.1. [《악마(惡魔)의 신(神)》인《석가모니》성불(成佛)의 의미]
1.4.1.4.1.1. [《아미타불(佛)》의 불법(佛法)]
1.4.1.4.1.2. [《노사나불(佛)》의 불법(佛法)]
1.4.1.4.2. [금강경(金剛經)과 비자야(Vijaya, 생몰 562BC~475BC)]
1.4.1.4.3.[《악마(惡魔)의 신(神)》인《석가모니》성불(成佛)의 문제점]
1.4.1.4.4.[《대마왕신(大魔王神)》《악마의 신》인 석가모니의 군림(君臨)]
1.4.2. [불법(佛法) 파괴의 실상(實相)]
1.4.2.1. [북방불교(北方佛敎)의 전래(傳來)]
1.4.2.2. [상좌부 연각과 독각 불교(上座部 緣覺과 獨覺 佛敎)]
1.4.2.3. [《악마(惡魔)의 신(神)》인《석가모니》불멸(佛滅) 이후의《인도》]
1.4.2.4. [불교(佛敎)와 불법(佛法)]
1.4.2.5. [당 왕조(唐王朝)와 불법(佛法)]
1.4.2.5.1. [음(陰)의 독각불교(獨覺佛敎)]
※ 특기(特記) 12 :
1.4.2.5.2. [당 마왕불교(唐魔王佛敎)]
※ 특기(特記) 13 :
1.4.2.6. [당 왕조(唐王朝)와《다보불》과《문수보살》]
1.4.2.7. [당 왕조(唐王朝)와 현장(玄奘)]
1.4.2.8. [《마왕불법(魔王佛法)》과《측천무후(則天武后)》
1.4.2.8.1. [측천무후(則天武后)]
1.4.2.8.2. [대마왕신(大魔王神)《묘음보살》과《유다 3대 왕》《아사》]
1.4.2.8.3. [《대마왕신(大魔王神)》《묘음보살》의 행적(行跡) 일부분]
1.4.2.9. [마왕불교(魔王佛敎) 한반도(韓半島) 전래(傳來)]
1.4.3. [마왕불법(魔王佛法)과 진언(眞言)]
1.4.3.1. [아제(阿帝)]
1.4.3.1.1. [아만(阿曼)과 나반(那般)]
1.4.3.1.2.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과 작은곰자리(Ursa Minor)《베타성(β星)》
1.4.3.1.3. [황제(皇帝)와 상제(上帝)와 천제(天帝)]
1.4.3.1.4. [황제(皇帝)와 제국(帝國)]
1.4.4 [당(唐) 현장 역(譯)《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1.4.4.1 [《당(唐)》《현장 역(譯)》반야심경(般若心經) 진언(眞言)의 문제점]
1.4.4.2 [현장 역(譯)《반야심경》진언(眞言)의 해설]
1.4.4.2.1 《揭帝揭帝(게제게제)》
※ 특기(特記) 14 :
1.4.4.2.2 [《波羅揭帝(바라게제)》]
1.4.4.2.3 [《波羅乘揭帝(바라승게제)》]
1.4.4.2.4 《菩提娑婆訶(모지사바하)》
1.4.4.2.5 《진언(眞言)》전체의 뜻
1.4.5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1.4.5.1 [阿帝阿帝(아제아제)]
1.4.5.2 [波羅阿帝(바라아제)]
1.4.5.3 [波羅乘阿帝(바라승아제)]
1.4.5.4 [菩提娑婆訶(모지사바하)]
1.4.5.5 [《진언(眞言)》전체의 뜻]
1.4.6 [《진언(眞言)》과《다라니》의 의의(意義)]
1.5. [유대의 역사(歷史)와 유대교(敎)]와 [로마(Rome)]
1.5.1 [《유대인》과《이스라엘인》들 우주적(宇宙的) 진화의 역사]
※ 결론(結論)
1.5.1.1 《유대인》들과《이스라엘인》들 지상(地上) 진화의 역사
1.5.1.1.1 《후리안족(Hurrians)》과 검은 텐트를 치고 사는《유목 민족》
1.5.1.1.2 [수메르 문명(文明)과 음(陰)의 곰족(熊族)]
1.5.1.1.3 [수메르 문명권의 왕조(王朝)들]
1.5.1.1.3.1 수메르 문명권(4100BC~1674BC) 일람표
1.5.1.1.3.2 [《수메르 문명권》왕조(王朝)들을 이끈《유대인》들과《이스라엘인》들의 조상(祖上) 불(佛) , 보살(菩薩)들의《왕명록》]
※ 특기(特記) 15 :
※ 특기(特記) 16:
※ 특기(特記) 17 :
1.5.1.2 [《유대인》들과《이스라엘인》들의《히브리 왕국》(1996BC~931BC)]
1.5.1.2.1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과《아미타불》
1.5.1.2.2 [테라(Terah)로 이름하셨을 때의《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가계도(家系圖)]
1.5.1.2.2.1 [아브람(아미타불, Abram, 생몰 2016BC~1841BC, 재위 1996BC~1841BC)]
1.5.1.2.2.2 [나호르 2세(미륵불, Nahor II, 생몰 2014BC~1961BC)]
1.5.1.2.2.3 [하란(노사나불, Haran, 생몰 2010BC~1851BC)]
1.5.1.2.3 [아브람(Abram)과《히브리 왕국》]
1.5.1.2.3.1 [아브람(Abram)의 이력](생몰 2016BC~1841BC)
1.5.1.2.3.2 [모리아(Moriah) 산(山)의 제례의식]
1.5.1.2.4 [타나크(Tanakh)]
1.5.1.2.4.1 [타나크(Tanakh)의 형성과 1차 왜곡]
1.5.1.2.4.2 [타나크(Tanakh)의 2차 왜곡]
1.5.1.2.5 [《롯(Lot)》과《소돔(Sodom)과 고모라(Gomorrah)》]
※ 특기(特記) 18 :
1.5.1.2.6 [이집트와《아미타불》]
1.5.1.2.6.1 [이집트 통치(統治)의 역사적 구분]
1.5.1.2.6.2 [1왕조(王朝)~12왕조(王朝)까지의 이집트 통치(統治)]
1.5.1.2.6.2.1 《이집트 11왕조(王朝)》에 대한 설명
1.5.1.2.6.3 [《히브리인》들을 위한《메시아(Messiah)》의 분노]
1.5.1.2.6.4 [13왕조(王朝)~20왕조(王朝)까지의《이집트》통치(統治)]
1.5.1.2.6.4.1 《이집트 13왕조(王朝)》(1802BC~1624BC)
1.5.1.2.6.4.2 [14왕조(王朝)~20왕조(王朝)까지](1624BC~1077BC)
1.5.1.2.6.4.3 야곱과 요셉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께서 히브리 왕국에 있던 장자 민족인 이스라엘인들을 이집트로 이동시킨 세 가지 목적]
1.5.1.2.6.4.4 [영아살해명령(嬰兒殺害命令)과 강제 노동]
[악마의 신들이 이집트에서 이스라엘인들을 핍박하고 강제 노동을 시킨 근본 원인]
1.5.1.2.6.4.5 [이스라엘 장자민족(長者民族)과 모세(Moses)]
[최고《대마왕신(神)》비로자나 1세와 고위급《악마의 신》들이《모세》를 앞장 세워 획책한 목적 정리]
※ [결론]
1.5.1.2.6.5 [《이집트》20왕조(王朝) 이후의 역사(歷史)]
1.5.1.2.6.5.1 [내부 요청에 의한 외부 세력 지배기(1077BC~332BC)]
1.5.1.2.6.5.2 [순수한 외부 침략으로 인한 지배기](332BC ~ AD1517)
1.5.1.2.6.5.3 [한민족(韓民族) 구성원들에 의한 점령기](AD1517~)
※ 특기(特記) 19 : 한민족(韓民族) 혈통을 가진 나라들
1.5.1.2.7 [《히브리 통합 왕국》과《북 이스라엘》과《남 유다》]
1.5.1.2.7.1 북 이스라엘 왕국(931BC~722BC)
1.5.1.2.7.2 남 유다 왕국(931BC~520BC)
1.5.1.2.8 바빌론 유수(幽囚)(Babylonian Captivity)](520BC~483BC)
1.5.2 로마(Rome)e
1.5.2.1 로마 민족(民族) 이동(移動)과《라틴어(語)》
1.5.2.1.1 [1대 왕 우르-남무(다보불, 재위 2047BC~2030BC)]
1.5.2.1.2 [2대 왕(王) 슐기(문수보살 2세, 재위 2030BC~1982BC)]
1.5.2.1.3 《다보불》과《양(陽)》의《곰족(熊族)》
1.5.2.2 [로마(Rome) 건국](753BC~AD286)
1.5.2.2.1 [로마(Rome) 역사(歷史)의 구분]
1.5.2.2.2 [로마 왕정(王政)(Roman Kingdom)](753BC~509BC)
1.5.2.2.3 [로마 공화정(共和政)](Roman Republic, 509BC~27BC)
※ 푸브리우스 바레리우스 푸브리코라(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 573BC~503BC)의 유명한 법
1.5.2.2.4 [고대 로마 종교(宗敎)]
1.5.2.2.5 [고대 로마 종교(宗敎)의 특징]
※ 특기 19 : [문명기(文明期)와 신전(神殿)]
1.5.2.2.6 [로마 구원사상(救援思想)과《줄리안력(歷)》]
1.5.2.2.6.1 [줄리안력(歷)과 아노 도미니(Anno Domini) 사상(思想)의 수난(受難)과 그레고리력(歷)]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Dionysius Exiguus)》가 부활절 테이블을 고안하면서 벌인 대사기극의 목적
※[결론(結論)]
※ 특기(特記) 20 : [메시아(Messiah)께서《기독인》들에게 드리는 당부]
1.5.2.2.7 [로마 제국(帝國)](27BC~AD286)
1.5.2.2.7.1 《지상(地上)》에서의 2차 우주 쿠데타와《로마 제국(帝國)》(27BC~AD286)
1.5.2.2.7.2 [퀴리누스(Quirinus, 신명 : 비로자나 1세) 숭배 사상과 유대인 폭동]
1.5.2.2.7.2.1 《1차 유대인 대폭동(大暴動)》(AD66~AD73)
1.5.2.2.7.2.2 [2차《유대인》대학살과《신전(神殿)》파괴](AD99~AD117)
1.5.2.2.7.2.3 [3차《유대인》대학살(大虐殺)]
※ 특기(特記) 21 :
1.5.2.2.7.3 [《로마 제국(帝國)》(Roman Empire) 해체(解體)]
1.5.3 악(惡)의 축(軸) 1,2,3의 움직임
1.5.3.1 《악(惡)》의《축(軸) 1》: 줄리어스 시저(문수보살 1세, 100BC~44BC) 암살단
1.5.3.1.1 줄리어스 시저(문수보살 1세) 암살단에 대한 설명
1.5.3.1.2 최고《악마(惡魔)의 신(神)》《대마왕신(神)》《비로자나 1세》와《대마왕》《다보불 1세》와의 동참을 위한《2차 우주 쿠데타》합의 사항
1.5.3.2 [《악(惡)》의《축(軸) 2》] : 자칭 유대교단 창단 멤버(헤로드 왕가)
1.5.3.2.1 [헤로드 대제(大帝)(다보불 1세, 74BC~4BC, 재위 37BC~4BC)]
※ 아리스트부루스 4세와 구약결집 완성
1.5.3.2.2 [《악(惡)의 축(軸) 2》와《자칭》《유대교단》]
※ 구원사상의 왜곡
1.5.3.3 [악(惡)의 축(軸) 3] : 로마 황제 및 로마 황제 사칭자들, 예수님의 12제자
1.5.3.4 [예수(Jesus)와 기독교(基督敎)]
1.5.3.4.1 《예수님》의 출생(出生)
1.5.3.4.2 《예수님》성장(成長)과 배경
1.5.3.4.3 [예수님의 설법(說法)]
1.5.3.4.4 [《요한 성자(聖者)》의 죽음]
1.5.3.4.5 [참(眞) 기독인 대학살]
1.5.3.4.6 [《예수님》의 죽음]
1.5.3.4.7 [협박(脅迫)의 상징 십자가(十字架)]
[도형 1-5-2] 인간평면도
1.5.3.4.8 [마왕 성경(魔王聖經)과 마왕 기독교(魔王基督敎)]
1.5.3.4.8.1 예수님(약왕보살) 12제자의 본색(本色)
1.5.3.4.8.2 《마왕 성경》결집과《마왕 기독교》탄생
1.5.3.4.8.3 요한계시록
1.5.3.4.9 [마왕 천주교(魔王天主敎)]
1.5.3.4.10 [마왕 기독교(魔王基督敎)]
1.5.3.4.10.1 [《지상(地上)》의 인류들을 향한 파렴치한 거짓말과《예수님》의 행적(行蹟)]
※ 특기(特記)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