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문서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삼일신고(三一神誥) (미륵불 역,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미륵불 역,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미륵불과 메시아 (미륵불,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진실된 세계의 역사와 종교 上(미륵불 저,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미륵부처님께서 밝히시는 잃어버린 진실된 한민족(韓民族)들의 역사(歷史)"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긴급강의]"미륵부처님께서 밝히시는 한민족들이 가야만 하는 길(미륵불 저, 2013)"
표. 법성(法性)의 파동으로부터 정명궁(正明宮)과 진명궁(眞明宮) 탄생을 거쳐 개천(開天, Big Bang) 이후 10억 년까지의 법공(法空) 작용
시기 | 정명궁(正明宮) 탄생 과정 | 진명궁(眞明宮) 탄생 과정 |
---|---|---|
법성(法性)의 파동 시작 | ||
법성(法性)의 1-6체계 파동에 의해서 분열의 법칙에 의해 넷의 순수 공 탄생 due to wave of 1-6 system of beop-seong(법성, 法性).(Law of Division applies to this process.) | ||
↓ | ||
넷의 순수 공(空) 각각이 1-3의 분열의 법칙에 의해 셋으로 나누어져 ∓12의 순수 공(空)들이 탄생. | ||
↓ | ||
이후 음양(陰陽) 짝에 의해 이합(二合)의 순수 진공 다섯이 탄생한 것을 세제일법 진공이라 한다.(4억 년 소요) | ||
법성(法性)의 파동~4억 년 때까지(4억 년간) | ||
이합(二合)의 순수 진공 구슬이 암흑물질 중 제일 가벼운 음(陰)의 암흑물질들인 중성미자와 결합하면서 회전이 일어나면서 1억 년 동안 작용하여 음(陰)의 여섯 뿌리 진공 탄생시킴과 동시에 세제일법의 순수 진공과 여섯뿌리진공이 법공 내부 암흑물질과 경계되는 지점으로 분출되기 시작.(1억 년간) | ||
5억 년 때 | ||
세제일법 진공이 회전에 의하여 암흑물질 가벼운 것과 첫 삼합을 하여 여섯 뿌리 진공 만들면서 법공 내부의 법공 크기 40%되는 암흑물질층으로 분출(5억 년 소요) | ||
10억 년 때 | ||
세제일법 진공(世第一法 眞空)과 음(陰)의 여섯뿌리 진공(眞空)들로 거대한 공을 형성하는 시기(5억 년 소요). | ||
15억 년 때 | ||
거대한 공이 정명궁 커블랙홀로 바뀌는 시기(5억 년 소요) 법성의 파동 20억 년만에 정명궁 커블랙홀 완성. | ||
20억 년 때 | ||
태양수 ![]() | 법성(法性)의 파동으로부터 20억 년 때~25억 년(5억 년간) :진명궁의 거대한 공을 형성하는 시기(5억 년 소요) | |
25억 년 때 | ||
법성(法性)의 파동으로부터 25억 년 때~30억 년(5억 년간) : 거대한 공이 진명궁 커블랙홀로 바뀌는 시기(5억 년 소요) | ||
30억 년 때 | ||
법성(法性)의 파동으로부터 30억 년 때~70억 년(40억 년간) : 태양수 ![]() | ||
60억 년 때 | ||
황금태양 내부핵의 붕괴로 물질 분출(10억 년 간) | ||
70억 년 때 | ||
수축기(30억 년 소요) | 법성(法性)의 파동으로부터 70억 년 때~80억 년(10억 년간) : 황금태양 내부핵의 붕괴로 물질 분출(10억 년 소요) | |
80억 년 때 | ||
법성(法性)의 파동으로부터 80억 년 때~110억 년(30억 년간) : 수축기(30억 년 소요) | ||
법성(法性)의 파동으로부터 100억 년 때(개천) | 중성자 대일 대폭발(빅뱅Big Bang) | |
상천궁(上天宮) 완성 때까지 10성 완성이 되는 시기.(10억 년 소요) | ||
110억 년 때 | 상천궁(上天宮) 10성 완성 | 진명궁 폭발 (⇨ 현재의 북극성 탄생) |
↓ | ↓ | ↓ |
120억 년 때 | ↓ |
참고 :
1.뿌루샤는 세제일법 진공(世第一法 眞空)과 여섯 뿌리 진공(眞空)을 뜻한다. 뿌루샤가 진공임을 표현하기 위해서 진공 뿌루샤라고 표현하고 있다.
2. (최종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미륵불 역, 2016)
3.(개정판)묘법화의 실상(實相)의 법(法)(미륵불 역, 2015) 7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