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문서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삼일신고(三一神誥) (미륵불 역,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미륵불 역,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미륵불과 메시아 (미륵불,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진실된 세계의 역사와 종교 上(미륵불 저,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미륵부처님께서 밝히시는 잃어버린 진실된 한민족(韓民族)들의 역사(歷史)"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긴급강의]"미륵부처님께서 밝히시는 한민족들이 가야만 하는 길(미륵불 저, 2013)"
대승보살도(大乘菩薩道)와 달마조사의 리입사행론(理入四行論)
참고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대승보살도 기초교리 (미륵불 저, 2015)
47. 보살도(菩薩道)에 대하여
1. 근본목적(根本目的)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의역(意譯) : 불법(佛法) 일치된 완전한 깨달음 이룸
2. 보살도(菩薩道) 수행 경전
『우주간의 법 해설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우주간의 법 해설 무량의경』
『우주간의 법 해설 묘법연화경』
『우주간의 법 해설 관보현보살행법경』
『우주간의 법 해설 법성게』
한단불교(桓檀佛敎) 4대 경전 :
천부경(天符經) 81자(字)
삼일신고(三一神誥),
황제중경(皇帝中經),
황제내경(皇帝內經)
해설서 : 리그베다(Rig Vedas), 우파니샤드(Upanishads)
3. 구족행(具足行)
[팔정도(八正道)]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 바른 선정(禪定)은 위빠사나(Vipassanā)와 사마타(Samatha)의 바른 수행이다.보살도에서의 선(禪)은 젠(Zen) 또는 Chan으로 알려진 선이 아니고 위빠사나이며 정(定)은 사마타를 뜻한다. 위빠사나는 선(禪)의 극치, 즉 맑음의 극치로 마음이 맑아지고 맑아지고 그렇게 된다.
4. 실천행(實踐行)
[육바라밀행(六波羅蜜行)]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 이것은 자신의 성(性)을 밝게 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즉, 지혜를 밝게 하기 위해 꾸준히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 진리의 법을 공부하는 것을 말한다.
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 : 위빠사나와 사마타 둘다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 수행 방법은 올바른 참회기도이다.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5. 보살도(菩薩道) 입문(入門) 통과 의례
필히《복식호흡》을 이수(履修)할 것.
6. 실천 수행
대상자 : 보살도 입문 통과 의례를 마친 행자에 한함.
리입(理入) : | 성(性)의 30궁(宮)에 있어서 양자(陽子) 24와 전자(電子) 6에게 혜(慧)를 축적시키는 방법으로써 먼저『천부경 81자(字)』,『삼일신고』,『우파니샤드』,『리그베다』,『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해설경』,『무량의 해설경』중에서 택일하여 당일 정진 부분까지 독송한 후, 독송이 끝난 후 경의 내용을 눈을 감고 조용히 떠올려 보는 명상(瞑想)을 한 후 생각이 끊어지는 곳으로부터 조용히 삼매(三昧)에 돌입. |
---|---|
※ 사행(四行) : | 이렇듯 성(性)의 36궁(宮)인 영혼(靈魂)에 리(理)인 진리(眞理)를 입력시켰을 때 내부적(內部的)으로 일어나게 하는 행(行)으로써 이렇듯 원망하는 마음이 일어날 때 이는 모두가 스스로가 지은 업(業)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므로 이때는《참회기도》로써 고비를 넘겨야 하며 이후는 지나간 옛 추억의 만상이 떠오르는 것이《수연행》이다. 이때는 만상에 얽매이지 말고 물 흐르듯 흘러 보내면 된다. 다음으로 외부적으로 실행하여야 될 행(行)이 무소구행과 칭법행으로써 무소구행은 집착(執着)과 관련된 행으로써 집착함이 없는 구함이 없는 바 행을 하는 것을 말하며 칭법행은 육바라밀행(行)을 말한다. 이러한 보원행, 수연행, 무소구행, 칭법행을 사행(四行)이라고 한다. |
7. 보살심(菩薩心)의 경계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
위로는 지혜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한다.
8. 보살도(菩薩道)의 경계
보살도(菩薩道)의 입문(入門)
보살도(菩薩道)의 성취
보살도(菩薩道)의 완성
참고 : 제26회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강의 (280p~307p) : 2016-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