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문서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삼일신고(三一神誥) (미륵불 역,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미륵불 역,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미륵불과 메시아 (미륵불,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진실된 세계의 역사와 종교 上(미륵불 저, 2015)"
인터넷 동영상 강의 - "미륵부처님께서 밝히시는 잃어버린 진실된 한민족(韓民族)들의 역사(歷史)"
인터넷 동영상 강의 - [긴급강의]"미륵부처님께서 밝히시는 한민족들이 가야만 하는 길(미륵불 저, 2013)"

 

 

대승보살도(大乘菩薩道)와 달마조사의 리입사행론(理入四行論)

 

 

참고 : (개정판) 우주간의 법 해설 대승보살도 기초교리 (미륵불 저, 2015)

 

 

47. 보살도(菩薩道)에 대하여

 

 

대승보살도(大乘菩薩道)

 

 

 

1. 근본목적(根本目的)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의역(意譯) : 불법(佛法) 일치된 완전한 깨달음 이룸

 

 

2. 보살도(菩薩道) 수행 경전

『우주간의 법 해설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우주간의 법 해설 무량의경』

『우주간의 법 해설 묘법연화경』

『우주간의 법 해설 관보현보살행법경』

『우주간의 법 해설 법성게』

한단불교(桓檀佛敎) 4대 경전 :
      천부경(天符經) 81자(字)
      삼일신고(三一神誥),
      황제중경(皇帝中經),
      황제내경(皇帝內經)
      해설서 : 리그베다(Rig Vedas), 우파니샤드(Upanishads)

 

 

3. 구족행(具足行)

 

[팔정도(八正道)]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 바른 선정(禪定)은 위빠사나(Vipassanā)와 사마타(Samatha)의 바른 수행이다.보살도에서의 선(禪)은 젠(Zen) 또는 Chan으로 알려진 선이 아니고 위빠사나이며 정(定)은 사마타를 뜻한다. 위빠사나는 선(禪)의 극치, 즉 맑음의 극치로 마음이 맑아지고 맑아지고 그렇게 된다.

 

 

4. 실천행(實踐行)

 

[육바라밀행(六波羅蜜行)]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 이것은 자신의 성(性)을 밝게 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즉, 지혜를 밝게 하기 위해 꾸준히 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 진리의 법을 공부하는 것을 말한다.

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 : 위빠사나와 사마타 둘다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 수행 방법은 올바른 참회기도이다.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5. 보살도(菩薩道) 입문(入門) 통과 의례

필히《복식호흡》을 이수(履修)할 것.

 

 

6. 실천 수행

 

대상자 : 보살도 입문 통과 의례를 마친 행자에 한함.

 

[달마조사의 리입사행론 수행]

리입(理入) : 성(性)의 30궁(宮)에 있어서 양자(陽子) 24와 전자(電子) 6에게 혜(慧)를 축적시키는 방법으로써 먼저『천부경 81자(字)』,『삼일신고』,『우파니샤드』,『리그베다』,『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해설경』,『무량의 해설경』중에서 택일하여 당일 정진 부분까지 독송한 후, 독송이 끝난 후 경의 내용을 눈을 감고 조용히 떠올려 보는 명상(瞑想)을 한 후 생각이 끊어지는 곳으로부터 조용히 삼매(三昧)에 돌입.
※ 사행(四行) : 이렇듯 성(性)의 36궁(宮)인 영혼(靈魂)에 리(理)인 진리(眞理)를 입력시켰을 때 내부적(內部的)으로 일어나게 하는 행(行)으로써 이렇듯 원망하는 마음이 일어날 때 이는 모두가 스스로가 지은 업(業)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므로 이때는《참회기도》로써 고비를 넘겨야 하며 이후는 지나간 옛 추억의 만상이 떠오르는 것이《수연행》이다. 이때는 만상에 얽매이지 말고 물 흐르듯 흘러 보내면 된다.
다음으로 외부적으로 실행하여야 될 행(行)이 무소구행과 칭법행으로써 무소구행은 집착(執着)과 관련된 행으로써 집착함이 없는 구함이 없는 바 행을 하는 것을 말하며 칭법행은 육바라밀행(行)을 말한다. 이러한 보원행, 수연행, 무소구행, 칭법행을 사행(四行)이라고 한다.

 

 

7. 보살심(菩薩心)의 경계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

위로는 지혜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한다.

 

 

8. 보살도(菩薩道)의 경계

 

보살도(菩薩道)의 입문(入門)

보살도(菩薩道)의 성취

보살도(菩薩道)의 완성

 

 

 

참고 : 제26회 정본(正本) 반야바라밀다심경 강의 (280p~307p) : 2016-08-20.